
출처 : [한국 강사신문] 소그룹 교육사진
최근 소그룹 성교육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성교육·성상담 전문기관 자주스쿨 역시 전국의 많은 부모로부터 소규모, 맞춤성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문의를 받고 있다. 자주스쿨은 유아부터 아동, 초등, 청소년, 양육자까지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17,000회 이상의 성교육·성상담을 진행했다. 그러면 과거와 달리, 왜 이토록 많은 이들이 소그룹 성교육을 찾는것일까?
△10대 성범죄 증가, 심각한 사회적 문제
여성가족부의 2022년 '청소년 매체 이용 및 유해환경 실태조사'에 따르면 청소년의 성인용 영상물 이용률은 47.5%로, 2020년(37.4%) 대비 급격히 중가했다. 자극적인 디지털 환경 속에서 올바른 성교육 없이 성을 접하는 청소년들은 왜곡된 성인식을 가질 가능성이 크다.
이와 함께 10대 성범죄 역시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경찰청에 따르면, 최근 논란이 된 딥페이크 성범죄의 피의자 중 80% 이상이 10대 청소년이었다. 그러나 현재 공교육에서 이를 충분히 다루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딥페이크 피의자 80프로 10대 [사진출처=YTN]
△공교육 성교육의 한계와 보완의 필요성
현재 국내 초·중·고등학교에서는 연간 15시간의 성교육이 의무화 되어있다. 그러나 실제로 이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더욱이 2024년에는 여성가족부의 학교 성인권 교육 예산이 전액 삭감되면서 공교육 내 성교육 기회가 더욱 축소될 전망이다
성교육의 필요성을 느끼지만, 실행에 어려움을 겪는 부모들에게, 사설 기관의 전문적인 성교육이 효과적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소그룹 성교육의 2가지 핵심장점
첫째, 연령과 발달단계에 맞춘 맞춤형교육
소그룹 성교육은 비슷한 연령대의 소규모 그룹을 대상으로 진행되므로, 교육대상자의 성장 상태와 발달단계에 맞는 맞춤형 교육이 가능하다. 소그룹 성교육은 아이뿐만 아니라 부모도 함께 교육과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아이 교육 후 부모교육 및 피드백 시간을 포함하여 가정 내에서 실질적인 성교육이 지속될 수 있도록 돕는다

자주스쿨 소그룹 성교육 커리큘럼 [자료출처=자주스쿨]
둘째, 일회성 교육이 아닌 지속 가능한 교육
소그룹 성교육은 일회성 교육이 아니라, 다회기 교육을 통해 아이들이 지속해서 성지식을 전달하고 건강한 성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다, 실제로 초등학생 시절부터 자주스쿨에서 성교육을 받아온 학생들이 성인이 될 때까지 교육을 지속한 사례도 많다
10회 이상 소그룹 성교육을 신청한 윤우의 양육자는 "아이에게 올바른 성 가치관을 형성해 주고 싶어 꾸준히 교육받게 했다. 그 결과, 건강한 이성교제를 하며 자라 주었고, 무엇보다 성과 관련된 고민을 부모와 자연스럽게 이야기 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것이 가장 큰 변화였다." 라고 전했다.

△아이들의 미래를 위해, 지속적인 성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
아이들의 미래를 위해, 지속적인 성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 공교육이 충분하지 않다면, 가정과 지역사회에서 이를 보완할 수 있도록 다양한 대안적 교육 방식과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중략)
일자 : 2025/03/11
정헌희 기자
출처 : 한국강사신문
출처 : [한국 강사신문] 소그룹 교육사진
최근 소그룹 성교육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성교육·성상담 전문기관 자주스쿨 역시 전국의 많은 부모로부터 소규모, 맞춤성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문의를 받고 있다. 자주스쿨은 유아부터 아동, 초등, 청소년, 양육자까지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17,000회 이상의 성교육·성상담을 진행했다. 그러면 과거와 달리, 왜 이토록 많은 이들이 소그룹 성교육을 찾는것일까?
△10대 성범죄 증가, 심각한 사회적 문제
여성가족부의 2022년 '청소년 매체 이용 및 유해환경 실태조사'에 따르면 청소년의 성인용 영상물 이용률은 47.5%로, 2020년(37.4%) 대비 급격히 중가했다. 자극적인 디지털 환경 속에서 올바른 성교육 없이 성을 접하는 청소년들은 왜곡된 성인식을 가질 가능성이 크다.
이와 함께 10대 성범죄 역시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경찰청에 따르면, 최근 논란이 된 딥페이크 성범죄의 피의자 중 80% 이상이 10대 청소년이었다. 그러나 현재 공교육에서 이를 충분히 다루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공교육 성교육의 한계와 보완의 필요성
현재 국내 초·중·고등학교에서는 연간 15시간의 성교육이 의무화 되어있다. 그러나 실제로 이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더욱이 2024년에는 여성가족부의 학교 성인권 교육 예산이 전액 삭감되면서 공교육 내 성교육 기회가 더욱 축소될 전망이다
성교육의 필요성을 느끼지만, 실행에 어려움을 겪는 부모들에게, 사설 기관의 전문적인 성교육이 효과적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소그룹 성교육의 2가지 핵심장점
첫째, 연령과 발달단계에 맞춘 맞춤형교육
소그룹 성교육은 비슷한 연령대의 소규모 그룹을 대상으로 진행되므로, 교육대상자의 성장 상태와 발달단계에 맞는 맞춤형 교육이 가능하다. 소그룹 성교육은 아이뿐만 아니라 부모도 함께 교육과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아이 교육 후 부모교육 및 피드백 시간을 포함하여 가정 내에서 실질적인 성교육이 지속될 수 있도록 돕는다
자주스쿨 소그룹 성교육 커리큘럼 [자료출처=자주스쿨]
둘째, 일회성 교육이 아닌 지속 가능한 교육
소그룹 성교육은 일회성 교육이 아니라, 다회기 교육을 통해 아이들이 지속해서 성지식을 전달하고 건강한 성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다, 실제로 초등학생 시절부터 자주스쿨에서 성교육을 받아온 학생들이 성인이 될 때까지 교육을 지속한 사례도 많다
10회 이상 소그룹 성교육을 신청한 윤우의 양육자는 "아이에게 올바른 성 가치관을 형성해 주고 싶어 꾸준히 교육받게 했다. 그 결과, 건강한 이성교제를 하며 자라 주었고, 무엇보다 성과 관련된 고민을 부모와 자연스럽게 이야기 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것이 가장 큰 변화였다." 라고 전했다.
△아이들의 미래를 위해, 지속적인 성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
아이들의 미래를 위해, 지속적인 성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 공교육이 충분하지 않다면, 가정과 지역사회에서 이를 보완할 수 있도록 다양한 대안적 교육 방식과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중략)
일자 : 2025/03/11
정헌희 기자
출처 : 한국강사신문